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일관성의 다른 용례
    단편/인문학 2022. 7. 8. 20:57

    1. 서론

       흔히 법원 판결문에서 "피해자의 진술이 일관되는 점"과 같은 식의 진술이 사용되고는 한다. 하지만, 일반인들이 보기에 이는 일관적이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러한 괴리가 생기는 원인은 무엇일까? 이는 법원에서 사용하는 일관성이라는 단어의 개념이 흔히 사용하는 것과 다르기 때문이다.[각주:1] 본고에서는 간단하게 이를 다루고자 한다.

     

    2. 본론

       법학적성시험의 논증 파트에서 논리학과 관련한 내용을 다룬다는 점에 착안하여, 서론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법원과 일반인의 인식에 괴리가 발생하는 이유는 법원에서 논리학에서 다루는 개념을 사용하기 때문이라는 점을 생각할 수 있다. 논리학에서 문장 간의 논리적 관계를 따지는 개념이 있다. 그 중 '일관성'이라는 개념이 있는데, 이는 두 문장이 모두 참인 경우가 하나는 있다는 것이다. 이를 진리표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다.

    일관적

    즉, 두 문장이 일관적이라는 것은 어떠한 상황에서는 두 문장이 모두 참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다만 이는 둘 중 어떤 것이 참이라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단지 가능성이 열려있다는 정도의 이야기일 뿐이다. 이해를 돕기 위해 반대로 말하자면, 두 문장이 비일관적이면 어떤 상황에서도 그 두 문장은 동시에 참일 수 없다.[각주:2]

    논리적 동치

       오히려 논리학에서 일반적으로 국어사전에서 언급하는 것과 같은 일관성의 개념과 유사한 것은 '논리적 동치'이다. 이는 모든 상황에서 두 문장이 같은 진리치를 가지며, 두 문장이 서로 다른 진리치를 갖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단, 논리학에서 다루는 문장의 진리표는 어디까지나 문장의 의미 또는 내포를 기준으로 삼기에, 이는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일관성의 개념보다는 좀 더 강한 수준의 의미를 지닌다.

    3. 결론

       이상으로 논리학에서 다루는 일관성의 개념에 관하여 간단하게나마 살펴보았다. 본문에서 확인한 것과 같이 논리학에서 사용하는 일관성의 개념은 어디까지나 가능성을 열어두는 개념이다. 따라서 이는 특정 문장의 진리치를 직접 확인하는 것은 아니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일관성이라는 단어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것과 다른 용례로 사용되는 것 같다면 어디까지나 가능성을 열어두는 서술이라고 판단함이 옳겠다. 


     

    1. 일관성: 「명사」 방법이나 태도 따위가 한결같은 성질. -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본문으로]
    2. 이는 어디까지나 이해를 돕기 위해 말한 것일 뿐, 논리적으로 좋은 예시는 아니다. 'A는 B다'라는 문장과 논리적으로 같은 진리치를 지니는 것은 '~B는 ~A'다라는 것이기 때문이다. 즉, 근본적으로 '~A는 ~B다'라는 위 예시는 'A는 B다'라는 문장과 논리적 관계를 지니지 않기에 좋은 예시가 아니라는 것이다. 다만, 위 사례의 경우 논의 영역을 제한하는 만큼 일관성과 비일관성의 관계를 분명하게 살펴볼 수 있다. [본문으로]

    '단편 > 인문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이어의 정서주의와 그 한계  (0) 2022.07.11

    댓글

Designed by Dunamis

Contact : admin@duna.me

업무용 연락처 : 010-9069-1045 (카카오톡)